애플케어플러스와 일반 애플케어 차이 정확히 비교하기
애플케어플러스는 기존 애플케어보다 보장 범위가 확대되고, 사용자 과실에 대한 수리 비용도 일부 지원하는 확장형 보장제도입니다. 반면 기존 애플케어는 단순한 무상보증 연장에 그쳤으며, 파손·침수에 대한 보장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두 용어가 혼용되며, 가입 시 어떤 보장을 받는지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반 애플케어는 보증 연장만, 애플케어플러스는 수리비 감면 포함
- 애플케어플러스는 사용자 과실(파손·침수 등)까지 일부 보장됩니다
- 제품 및 국가에 따라 두 상품이 모두 존재하거나, 하나만 운영되기도 합니다

1. 일반 애플케어 vs 애플케어플러스 핵심 개념 비교
두 서비스는 명칭은 비슷하지만 보장 범위와 사용자 체감 실익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가장 중요한 구분은 ‘사용자 과실 보장 여부’입니다.
1) 일반 애플케어: 단순 보증 연장
제품 하드웨어 자체 결함에 대한 무상 보증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일반 애플케어의 핵심입니다. 파손, 침수, 낙하 등 ‘사용자 과실’에 대한 보장은 없습니다.
2) 애플케어플러스(AppleCare+): 확장형 보장 + 자부담 수리 혜택
애플케어플러스는 기본 보증 연장은 물론이고, 파손·침수 등 실수에 의한 고장도 일정 자부담으로 보장합니다. 한국에서는 2021년부터 대부분의 제품군에 AppleCare+로 전환되었습니다.
3) 제품 및 국가에 따라 두 상품이 혼재
과거에는 제품에 따라 일반 애플케어만 운영되었으며, 최근은 대부분 AppleCare+로 통일되고 있으나, 맥 미니·애플TV 등 일부 제품은 여전히 일반 애플케어만 제공됩니다.
아이폰 파손 수리비 자비 부담 계산법과 애플케어 비교
아이폰은 수리 항목에 따라 수십만 원의 자비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애플케어 가입 여부에 따라 비용 차이가 극심하게 벌어집니다. 특히 화면 파손, 후면 유리 손상, 로직보드 문제 등은 30만
faq-world.tistory.com
2. 보장 항목별로 보는 상세 차이점
애플케어와 애플케어플러스는 보증 기간뿐 아니라 수리 항목, 비용 부담 구조, 보장 횟수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
1) 보장 대상: 플러스는 사용자 과실 보장 포함
일반 애플케어는 기기 결함·소프트웨어 문제만 무상 보장하며, 애플케어플러스는 실수로 인한 파손(예: 액정, 후면 유리, 침수 등)까지 보장합니다.
2) 자부담 유무: 일반은 없음, 플러스는 정액 자부담
애플케어플러스는 수리 시 4.9만 원(화면 손상), 12.9만 원(기타 파손)의 자부담을 납부하고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애플케어는 수리 보장이 없기 때문에 자부담 자체가 없습니다.
3) 보장 횟수 제한: 일반은 없음, 플러스는 연 2회
애플케어플러스는 연간 2건까지 사용자 과실 보장이 가능하며, 일반 애플케어는 하드웨어 보증이기 때문에 횟수 제한 개념이 없습니다.
3. 적용 제품군과 국내 운영 방식 차이
현재 한국 애플스토어에서는 대부분 제품에 AppleCare+를 적용하고 있으며, 일반 애플케어는 일부 기기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1) 아이폰·아이패드·애플워치 등은 모두 애플케어플러스
2021년 이후 국내 아이폰·아이패드 제품군은 모두 AppleCare+로 통합 운영되고 있으며, 파손 시 자부담 수리 방식이 적용됩니다.
2) 맥북은 모델에 따라 일반 애플케어 또는 플러스 선택 가능
맥북·맥스튜디오 등 일부 기기는 일반 애플케어 또는 플러스 중 선택 가능하며, 플러스 선택 시 파손 보장이 포함됩니다. 애플 공식몰 구매 시 옵션 선택이 가능합니다.
3) 애플TV·맥미니는 여전히 일반 애플케어
내구성이 강하고 파손 가능성이 낮은 제품군(애플TV, 맥미니)은 단순 보증 연장을 위한 일반 애플케어만 제공됩니다. 수리 비용 자체도 낮아 플러스 상품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항목 | 일반 애플케어 | 애플케어플러스 |
---|---|---|
기기 결함 보장 | O | O |
사용자 실수 보장 | X | O (연 2회 한정) |
자부담 발생 | 없음 | 화면 4.9만 / 기타 12.9만 |
보증 기간 | 기기별 2~3년 | 기기별 2~3년 (동일) |
가입 대상 | 일부 기기 | 대부분 기기 |
애플케어 가입할지 결정하는 현실 기준
애플케어는 수리 비용 대비 가입 비용이 합리적인지에 따라 실익이 갈립니다. 제품 가격 대비 15~25%에 해당하는 보장료를 선납해야 하며, 사고 발생 시 감면 혜택이 있지만 사용하지 않으면 전액
faq-world.tistory.com
4. 일반 애플케어와 플러스 비교 체감 후기
두 상품의 실질적 차이는 실제 수리 상황에서 확연히 드러납니다. 가입자는 보장 범위 외에도 심리적 안정감에서 차이를 느낀다고 말합니다.
1) “일반 애플케어는 내부 결함엔 좋지만 파손은 전혀 보장 안 돼요”
맥북 사용자인 A씨는 하드웨어 문제가 생겨 무상 수리를 받았지만, 낙하로 인한 외부 파손은 보장되지 않아 별도 비용을 들여야 했습니다. 일반 애플케어는 ‘정상적 사용’ 하에서만 유효합니다.
2) “애플케어플러스 가입했더니 60만 원 수리비가 4.9만 원”
아이폰 액정이 깨진 B씨는 플러스 가입 덕분에 자부담만 내고 정품 수리를 받을 수 있었고, 동일 상황 미가입 시 59만 원 청구 예정이라는 말에 가입의 실익을 실감했다고 전했습니다.
3) “제품 따라 둘 다 있어서 헷갈리는데, 플러스가 더 안심됩니다”
아이패드 구매 시 애플케어플러스를 선택한 C씨는 “일반 애플케어는 거의 쓸 일이 없고, 파손 시 플러스가 압도적”이라며 가입 기준을 ‘실수 가능성’으로 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5. 어떤 애플케어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기준
애플케어의 실익은 가격보다도 ‘예상 리스크’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품 용도, 사용 패턴, 수리비 부담 가능성을 중심으로 선택 기준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실내 고정형 기기라면 일반 애플케어로도 충분
맥 미니, 아이맥, 애플TV 등 이동이 없고 물리적 충격 가능성이 적은 제품군은 일반 애플케어의 보증 연장만으로 충분한 실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2) 휴대성이 높은 기기일수록 플러스 선택이 유리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처럼 이동 중 낙하, 파손, 침수 가능성이 존재하는 제품은 AppleCare+를 선택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현실적인 전략입니다.
3) 가입비와 자부담을 합산해 실익을 계산해야 함
가입비 약 25만 원 + 자부담 4.9~12.9만 원 = 30~40만 원으로 큰 사고 1회면 본전 이상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무사고 시 비용 손해지만, 사고 1회면 체감 이득이 큽니다.
6. 결론과 요약
애플케어와 애플케어플러스는 단순 명칭 차이가 아닌, 구조적 보장 내용의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 파손·침수·낙하 등 사용자 과실 보장이 있는지 여부가 핵심입니다.
1) 일반 애플케어는 무상 보증 연장, 애플케어플러스는 파손 보장 포함
2) 자부담이 발생하더라도 플러스는 사고 1회로 실익이 명확합니다
3) 제품 종류와 사용환경에 따라 보장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떤 걸 가입할까?’가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손해를 막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선택하세요.
7. 자주 묻는 질문
- Q. 애플케어와 애플케어플러스는 이름만 다르고 같은 건가요?
- 아닙니다. 애플케어는 보증 연장, 플러스는 사용자 실수까지 보장하는 확장형 상품입니다.
- Q. 모든 제품에 애플케어플러스가 적용되나요?
- 아닙니다. 애플TV, 맥미니, 일부 악세서리는 일반 애플케어만 적용됩니다.
- Q. 일반 애플케어는 파손·침수 수리도 포함되나요?
- 포함되지 않습니다. 애플케어플러스에서만 사용자 과실 보장이 가능합니다.
- Q. 플러스에 가입하면 수리는 모두 무료인가요?
- 아닙니다. 자부담이 있으며, 연 2회까지만 사고 수리가 가능합니다.
- Q. 맥북은 애플케어와 플러스 중 선택 가능한가요?
- 예. 공식몰 구매 시 옵션 선택이 가능하며, 플러스 선택 시 파손 보장 포함됩니다.
댓글